둥산섬 전역 (1953년)

둥산섬 전역(東山島戰役)은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 장저우 둥산현 둥산섬에서 1953년 7월 16일부터 7월 18일까지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 간에 벌어진 전투다. 둥산섬 전역은 둥산섬을 해방시키려는 중화민국군에 의해 일어났다. 둥산섬 전역인 국부천대 이후 양측 간의 마지막이자 최대 전투였다. 둥산섬 전역 이후 중화민국군은 중화인민공화국 본토에 대해 둥산섬 전역에서와 비슷한 수준의 대규모 반격을 할 수 없음을 깨닫고 그 대신 제한적 잠입과 소규모 접전을 했다.

전투 이전

전투 시작 직전 국민당군 사령관 후롄은 해군 선박 13척과 30척이 넘는 모터 정크선에 실린 병사들과 같이 3년 전 둥산섬 전역으로 함락당한 둥산섬을 해방시키기 위해 둥산섬으로 나아갔다. 정규 사단 1개와 연대 1개와 더불어 낙하산 대대 병력 498명이 해당 임무에 배속됐다. 중화민국군 병력은 1만 명 이상이었다. 국민당은 둥산섬을 중화인민공화국 측과 가까운 곳에 있는 근거지로 삼아 본토를 미사일로 공격하는 발판으로 삼으려 했으나 군대 지휘관들은 성공할지에 대해 의심을 했다. 치열한 논쟁 끝에, 정치적 사기 증진을 위해 해당 섬을 공격한 후 중국 인민해방군이 해당 섬을 증강하기 전에 신속히 철수하자는 것이었다.

결과

둥산섬 전역은 중화민국의 중화인민공화국 본토에 대한 마지막 대규모 반격이었다. 중국 인민해방군에 의해 수습된 중화민국군 군인 사망자 숫자는 2,664명이었고 715명이 포로로 잡혔다. 중화민국군은 자국군 부상자들을 성공적으로 철수시켰기 때문에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화민국군 부상자 숫자를 셀 수 없었다. 추가로 탱크 두 대가 파괴되고 상륙함 3척과 항공기 2척을 손실했다.

기밀 유지 때문에 중화민국군 부대들 사이에는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했고 둥산섬에서 가장 큰 항구에 하선하는 중화민국군 상륙함이 중국 인민해방군 박격포의 사정거리 안에 들어가게 됐다. 상륙함이 중화기를 신속히 하선하지 못했고 상륙함과 부두가 중국 인민해방군 박격포에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중화민국군의 또다른 실수는 중국 인민해방군 방어부대와 본토의 통신망을 제대로 끊지 못했다는 것이었고 그 결과 본토에서는 전황을 더 잘 파악할 수 있었다.

중화민국군은 중국 인민해방군의 속도와 반응을 평가절하했었다. 중화민국군 전투 서열에 1개 사단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낙하산 사단의 여단 2개는 병력이 1개 대대 수준인 498명밖에 안 되어 있었다. 중장비 부족으로 벙커에 주둔하는 군인들을 장악하지 못 했고 중화기 부족은 낙하산 부대의 손실로 이어졌다. 게다가 상륙함 3척이 침몰하고 중국 인민해방군 박격포에 의해 항구가 파괴됐기 때문에 상륙부대 대부분은 경화기밖에 없었고 중국 인민해방군보다 열세에 놓였다. 이런 문제는 경무장된 낙하산 부대에게 요새화된 중국 인민해방군의 지점을 강력하게 공격하라는 지시를 내려서 수많은 사상자를 낳게 한 문제와도 얽혔다. 항구에 있던 중화기를 손실하여 무기 면에서 열세에 놓이게 된 중화민국군은 중국 인민해방군이 본토 부대를 강화함에 따라 수적 열세에 놓였다.

중화민국군은 중국 인민해방군이 증강 병력을 파견하는 속도 뿐 아니라 중국 인민해방군이 손상된 다리를 복구하는 속도에 대해서도 과소평가했다. 중화민국 정보기관 측은 최소 2일이 걸린다고 예측했지만 실제로는 몇 시간 내에 이뤄졌다. 그 소식이 중화민국 측에 전달됐고 임무를 달성할 수 없음을 알게 된 중화민국은 신속히 둥산섬에서 철수했다.

같이 보기

  • v
  • t
  • e
주요 인물
중국공산당
중국국민당
배경
  • 옌안 시기의 시작
  • 통일전선
  • 국공마찰
  • 신삼민주의
  • 신민주주의
  • 헌정운동
  • 국민참정회
  • 중공의 항일근거지
  • 25감조
  • 33제 원칙
  • 중화민국 법폐
  • 이닝사변
  • 중국공산당 제7차 전대
  • 배도문화계 대시국 연설
  • 페이궁 살해 사건
  • 해산문화회
  • 얄타 회담
  • 포츠담 선언
  • 소련-일본 전쟁
  • 량화이 전역
  • 중소 우호 동맹 조약
  • 대일 전승 기념일
  • 몽골 인민공화국의 독립
  • 백기사건
  • 주더의 오카무라 항복 명령서
  • 제2차 세계 대전 중국지구 항복식
  • 내몽골 인민공화국
  • 오자등과
  • 초비수본
  • 향북발전, 향남방어
  • 대목적시국선언
  • 중국공산당 대만성 공작위원회
  • 충칭 회담
  • 쌍십협정
  • 초비밀명
  • 10.3 사건 (10월 사건)
  • 1945년 국공 항쟁
    • 상당 전역
    • 핑쑤이로 전역
    • 진푸 전역
    • 한단 전역
    • 산하이관 전투
  • 가오수쉰 운동
  • 동몽골 인민자치정부
  • 뤼아 협정
  • 12.1 사건
  • 3인 위원회
  • 군사조처 집행부
  •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 러허 전투
  • 1월 정전령
  • 정군 방안
  • 창바이탕 사건
  • 정치협상회의
    • 정부조직협의
    • 화평건국계획
    • 헌법 초안
    • 국민대회 협의
    • 군사문제 협의
  • 자오창커우 사건
  • 루둥성 살인 사건
  • 장선푸 사건
  • 1946년 봄 반소 운동(2.22 운동)
  • 2.22 사건
  • 군조부 사건
  • 멍셴 사건
  • 사링 전투
제1단계
1946년 3월~1947년 3월
  • 중국국민당 제6기 중앙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
  • 국민참정회 제4차회의 제2회기
  • 상하이 골드러시 사건
  • 연병문제에 관한 지침
  • 리자오린 암살 사건
  • 난퉁 참사
  • 헤이차산 항공기 추락 사고
  • 동북 정전 협정
  • 중산 공원 음악당 사건
  • 타이베이 4.3 사건
  • 5.4 지시
  • 6월 정전령
  • 상하이 인민단체연합회
  • 샤관 참사
  • 원이둬 참사
  • 구대폐 발간
  • 동북행정위원회
  • 제3방면 조정
  • 제헌국민대회
  • 중미우호통상항해조약
  • 짱다야오쯔 사건
  • 상하이 행상 사건
  • 선충 사건
  • 취안궁 빌딩 유혈 사건
  • 2·28 사건
중원
  • 중원돌파
  • 룽하이로 공세 전투
  • 딩타오 전역
  • 쥐예 전투
  • 쥐안청 전투
  • 화셴 전투
  • 쥐진위 전투
  • 위완볜 전투
  • 위베이 전투
화베이
  • 진베이 전투
  • 다퉁-지닝 전투
  • 퉁푸 전투
  • 린푸 전투
  • 장자커우 전투
  • 뤼량 전투
  • 펀샤오 전투
  • 바오난 전투
  • 진난 전투
  • 정타이 전투
둥베이
  • 제1차 쓰핑 전역
  • 제1차 장춘 전역
  • 하얼빈 전역
  • 번시 방어전
  • 제2차 쓰핑 전역
  • 안하이 전역
  • 안둥 회전
    • 신카이링 전역
  • 린장 전역
  • 둥베이 초비
산둥-쑤중
  • 자오지로 연선 전역
  • 쑤중 전투
  • 차오양지 전투
  • 쓰셴 전투
  • 량화이 방어전
  • 핑두-안추 전역
  • 롄수이 전역
  • 쑤베이 전역
  • 루난 전역
  • 라이우 전역
  • 화이수-지리바오 전역
  • 라이우 전투
제2단계
1947년 3월~1948년 9월
  • 중국국민당 제6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
  • 중점진공 전략
  • 두빈청 암살 사건
  • 중산릉 통곡 사건
  • 짜오린거우 회의
  • 중국공산당 중앙통일전선공작부
  • 양루쿠이 사건
  • 5.20 운동
  • 6.1 참사
  • 상하이 경찰-헌병 충돌
  • 화평공세
  • 내몽고 자치 정부
  • 3사3정
  • 국민당 제6기 중앙위원회 당원합병
  • 중국 민주 동맹
  • 위쯔싼 참사
  • 대만 민주자치동맹
  • 1947년 중화민국 국민대회대표 선거
  • 12월 회의
  • 신식정군운동
  • 중화인민해방군 혁명군인위원회
  •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 중국민주동맹 제1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
  • 퉁지 대학 유혈 사태
  • 상하이 무조안
  • 선주 참사
  • 194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 청더우 4.9 참사
  • 베이핑 4.9 참사
  • 4.14 선언
  • 평화민주동맹
  • 1948년 이후 인플레이션
  • 1948년 화폐 개혁
    • 8.19 가격제한령
    • 금원권
    • 상하이 타호
  • 제1대 국민대회 제1차 회의
  • 쿵셴룽 자살 사건
  • 1948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
  • 동원감란시기 임시조관
  • 청난좡 회의
  • 5.1 구호
  • 미제부일 반대운동
  • 베이핑 7.5 사건
  • 징밍 빌딩 사건
  • 옌안 시기 종료
  • 화베이 인민정부
  • 중화전국총공회
중원
  • 루시난 전역
  • 다볘산 진격
  • 위시 진격전
  • 위완쑤 전역
  • 딩리장 전역
  • 가오산푸 전역
  • 푸뉴산-둥루 전역
  • 핑한-룽하이 철로 전역
  • 뤄양 전역
  • 완시 전역
  • 완둥 전역
  • 샹판 전역
  • 정저우 전역
화베이
  • 칭창 전역
  • 제1차 츠바오베이 전역
  • 칭펑뎬 전역
  • 스자좡 전역
  • 윈청 전역
  • 린펀 전역
  • 차난-쑤이둥 전역
  • 지러차 전역
  • 진중 전역
  • 제2차 바오베이 전역
  • 지중-촨신 전투
둥베이
  • 1947년 하계 둥베이 전역
    • 제3차 쓰핑 전역
  • 1947년 추계 둥베이 전역
  • 1947년 동계 둥베이 전역
    • 제4차 쓰핑 전역
  • 창춘 포위전
산둥-쑤중
  • 멍량구 전역
  • 7월 분병
    • 난마 전역
  • 투산지 전역
  • 옌청-둥타이 전역
  • 자오둥 전역
    • 라이양 전역
  • 사투지 전역
  • 리바오-핀차 전역
  • 옌난 전역
  • 자오지로 서부 전역
  • 쑤베이 전역
  • 웨이셴 전역
  • 옌저우 전역
  • 위둥 전역
시베이
  • 산베이 전역
  • 허수이 전역
  • 제1차 위린 전역
  • 사자뎬 전역
  • 옌칭 전역
  • 제2차 위린 전역
  • 이와 전역
  • 시푸-룽둥 전역
  • 청허 전역
제3단계
1948년 9월~1950년
  • 장야호 폭침 사건
  • 내전전쟁비범명부
  • 관차지 압수 사건
  • 중화민국 국고 황금 대만 운송 작업
  • 창구학인
  • 장혁명진행도저
  • 중화민국 38년원단고 국군민동포서
  • 1월 회의
  • 야전군 번호 서수식 정렬 개정에 관한 결정
  • 중공중앙 마오쩌둥 주석의 현 시국 성명
  • 1949년 장제스의 하야
  • 태평륜 침몰 사고
  • 장완 군 화약고 폭파 사건
  • 4.6 사건
  • 암머시스트호 사건
  • 미코얀의 시바이포 비밀 방문
  • 중국공산당 제7기 중앙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
  • 베이핑 평화 회담
  • 장취안 반란 모의 사건
  • 관비 정책
  • 펑후 7.13 사건
  • 청년단일대
  • 신정치협의준비회의
  • 신대폐 발간
  • 60억 위안 지폐
  • 중국문학예술계연합회
  • 은원권
  • 둥베이 인민정부
  • 펑위샹의 사망
  • 양제 암살 사건
  • 자바이칼산 항공기 추락 사고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차 전체회의
    • 공동강령
  •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 성립전례
    • 중앙인민정부
  • 중화민국 38주년 국경절 기념 전국군민동포고서
  • 양항 사건
  • 충칭 11.27 사건
  • 국부천대
  • 청더우 12교 참사
둥베이
화중, 화둥
  • 지난 전역
    • 우화원 반란
  • 화이하이 전역 (삼대전역)
    • 쉬둥 저지전
    • 녠좡 전역
    • 솽두이지 전역
    • 천관좡 전역
  • 징먼 전역
  • 두장 전역
    • 장인 요새 봉기
    • 상하이 전역
      • 웨푸 전투
  • 상하이 대폭격
  • 칭지 전역
  • 장강 돌파
  • 이사 전역
  • 샹간 전역
  • 칭수핑 전역
  • 헝바오 전역
  • 간시난 전역
  • 푸저우 전역
  • 핑탄다오 전역
  • 사먼 전역
  • 구닝터우 전투
  • 저우산 전역
    • 덩부다오 전역
    • 저우산 퇴각
화베이, 시베이
  • 리베이 전역
  • 1948년 동계 시베이 전역
  • 타이위안 전역
  • 차쑤이 전역
  • 핑진 전역 (삼대전역)
    • 신바오안 전역
    • 톈진 공세 전역
    • 베이핑 무혈 함락
  • 안신 전역
  • 다퉁 무혈 함락
  • 산중 전역
  • 푸메이 전역
  • 란저우 전역
  • 1949년 닝샤 전역
  • 쑤이위안 무혈 함락
  • 신장 무혈 함락
화난
  • 광둥 전역
  • 어시 전역
  • 광시 전역
    • 푸타이부병
시난
  • 광시 전역
  • 난취안 전역
  • 시난 전역
  • 청더우 전역
  • 루한 운남 봉기
  • 뎬난 전역
  • 시창 전역
  • 창두 전투
여파
  • 해방구/국통구
  • 중화민국 대륙시기 1급 행정구역의 수장 목록
  •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사면
  • 중국공산당의 스파이 / 중국국민당의 스파이
  • 틀:양안관계
이 글은 중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전쟁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