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화롄 지진

2015년 화롄 지진(2015年花蓮地震)은 2015년 4월 20일에 발생한 지진이다.

개요

2015년 화롄 지진
발생일 2015년 4월 20일
발생시간 9시 42분 (타이완 표준시)
진앙 일본 기상청 북위 23° 57.3′ 동경 122° 25.6′  / 북위 23.9550° 동경 122.4267°  / 23.9550; 122.4267[1]
타이완 중앙기상국 북위 24° 01′ 동경 122° 26′ / 북위 24.02° 동경 122.44°  / 24.02; 122.44[2]
USGS 북위 24° 12′ 11″ 동경 122° 18′ 58″ / 북위 24.203° 동경 122.316°  / 24.203; 122.316[3]
진원 깊이 일본 기상청 22km
타이완 중앙기상국 30.6km
USGS 29.0km
규모 일본 기상청 M6.8[4][5]
타이완 중앙기상국 M6.4
USGS M6.4
최대 진도 대만 대만 진도4급 (이란, 신베이)[6]
일본의 기 일본 진도4 (요나구니정)[7][8]
인명피해 사망자 1명[9][10]

진도 (일본)

일본 각지에서 진도1 이상의 진동을 느낀 지역은 다음과 같다.[11]

진도 도도부현 시정촌
4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정[12]
3 오키나와현 다케토미정
2 오키나와현 다라마촌 이시가키시
1 오키나와현 미야코지마시

장주기 지진동 경보가 발령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13]

계급 지역
계급1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섬

각주

  1.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2. “地震-地震資訊-地震詳細資料”. 2016년 3월 7일. 2016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3. “M 6.4 - 64km SE of Su'ao, Taiwan”.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4. “気象庁|報道発表資料”.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5. “2015年4月の地震活動の評価”.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6. “【更新】 9:42發生6.3地震 宜、新北達4級 (即時新聞)”. 2015년 4월 23일. 2015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7. “与那国震度4、余震も 一時津波注意報” (일본어).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8. “与那国島で震度4 津波注意報は解除 (沖縄タイムス+プラス ニュース)” (일본어).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9. “整理包/爆炸.停電.車疊…6.3地震全台災情”. 2015년 4월 22일. 2015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10. “台湾沖でM6.6の地震、火災で1人死亡” (일본어).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11. “地震情報 04月20日 10時42分頃発生 最大震度:4” (일본어).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12. 日本テレビ. “沖縄で震度4 津波観測されず、注意報解除|日テレNEWS24” (일본어).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13. 平成27年4月20日10時43分頃の与那国島近海の地震について (PDF) - 일본 기상청

외부 링크

  • “中央氣象局地震報告 編號第104022號” (중국어 (대만)). 中央氣象局. 2016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7일에 확인함. 
  • v
  • t
  • e
2월
4월
5월
6월
  • 말레이시아 사바흐 (4일, M6.0)
7월
  • 중국 신장 (3일, M6.4)
  • 일본 오이타현 (13일, M5.7)
  •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24일, M5.1)
8월
  • 콩고민주공화국 남키부 (7일, M5.8)
9월
10월12월
  • 타지키스탄 무르고프 (7일, M7.2)
  • 아프가니스탄 힌두쿠시 (25일, M6.3)
  •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 v
  • t
  • e
주요 지진
19세기 이전
  • 1694년 타이베이
  • 1736년 타이난
  • 1792년 자이
  • 1815년 단수이
  • 1839년 자이
  • 1845년 타이중
  • 1848년 장화
  • 1862년 타이난
  • 1867년 지룽
20세기
  • 1904년 더우류
  • 1906년 메이산
  • 1910년 대만 동북부 해역
  • 1916-1917년 타이난
  • 1920년 화롄
  • 1935년 신주-타이중
  • 1941년 중푸
  • 1946년 신화
  • 1951년 대만 동지구대
  • 1957년 화롄
  • 1959년 헝춘
  • 1963년 쑤아오
  • 1964년 바이허
  • 1966년 화롄
  • 1972년 루이수이
  • 1986년 화롄
  • 1994년 대만 해협
  • 1995년 뉴더우
  • 1996년 란위섬
  • 1998년 루이리
  • 1999년 난터우 지지
  • 1999년 자이
21세기
  • 2002년 화롄 해역
  • 2003년 타이둥 청궁
  • 2006년 헝춘
  • 2008년 신주 (인공지진)
  • 2009년 난터우
  • 2009년 화롄
  • 2010년 가오슝
  • 2012년 우타이
  • 2013년 난터우
  • 2013년 난터우 2차
  • 2013년 화롄
  • 2014년 펑린
  • 2015년 타이둥
  • 2015년 화롄
  • 2015년 가오슝
  • 2016년 대만 동북부 해역
  • 2016년 타이둥
  • 2017년 타이난
  • 2018년 화롄
  • 2019년 화롄
  • 2019년 이란
  • 2020년 이란
  • 2020년 이란 2차
  • 2021년 화롄
  • 2022년 화롄
  • 2022년 타이둥
  • 2024년 화롄
주요 기관
주요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