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오스트레일리아

V 오스트레일리아
V Australia
V 오스트레일리아의 보잉 777-300ER
V 오스트레일리아의 보잉 777-300ER
IATA ICAO 항공사 콜사인
VA VAU VEE-OZ
창립일 2007년
운항개시일 2009년 2월 27일
운항중단일 2011년 12월 11일 (버진 오스트레일리아에 합병)
허브 공항 시드니 공항
상용고객
우대제도
Velocity Rewards
보유 항공기 5
취항지 수 5
슬로건 Now Everyone Can Fly Xtra Long
본사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핵심 인물
모기업
웹사이트 http://www.vaustralia.com.au/

V 오스트레일리아(영어: V Australia)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장거리 국제선 전문 저비용 항공사이자 버진 그룹의 자회사로 2007년에 설립해 2009년에 취항을 개시 했으나 2011년에 버진 블루와 합병한 뒤 버진 오스트레일리아로 개명된 저비용 항공사로 본사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위치해 있으며 당시 허브 공항시드니 공항이 있다.

역사

2006년에 버진 블루(현 버진 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로 새로운 장거리 국제선 저비용 항공사를 만들어 일주일에 7회씩 미국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중에서 한 개의 국제공항에 취항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부탁했다. 그 후 2007년V 오스트레일리아가 새로운 항공사의 이름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 2008년 2월 15일 미국에 의해 승인되면서 미국까지 국제선 취항을 무제한으로 허용되었다. 2009년 1월 ILFC로부터 보잉 777-300ER를 인도했다. 같은 해 2월 27일에 최초로 취항했다. 이후에 요하네스버그, 푸껫, 멜버른, 브리즈번에 추가로 취항했다. 또한 8월 17일피지난디에 취항했다. 2010년 8월 요하네스버그 운항 중지에 이어 타이푸껫도 취항이 중지되고 말았다. 2011년 2월 24일 보잉 777-300ER시드니 공항에서 아부다비 국제공항로 운항했지만 엄청난 손실이 누적되면서 2011년 12월에 버진 블루와 합병되면서 버진 오스트레일리아로 변경했다.

운항 노선

단항 노선

코드쉐어 협정

당시 델타 항공로스앤젤레스 ~ 시드니를 매일 운항하고 있었으며, 사실상 경쟁 관계에 해당했다. 그러나 델타 항공과 제휴를 하지 않게 되면 버진 아메리카미국의 운항 노선이 적었기 때문에 미국 시장에 도입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당시 델타 항공은 마일리지 프로그램과 환승 구간 판매 등 상호 협력을 하고 있었다. 또한 델타 항공버진 블루와 같은 제휴를 하고 있었다.

보유 기종

V 오스트레일리아의 보유 기종[2]
기종 대수 주문 옵션 승객 비고
J W Y 합계
보잉 777-300ER
5
0
2
33
40
280
353
합계 5 0

기내 서비스

당시 V 오스트레일리아의 기내 서비스는 3 클래스 기반이며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콴타스 항공의 자회사이자 저비용 항공사제트스타 항공과 다른 점은 저비용 항공사 (LCC) 대신 전체 경력이 있는 이코노미 클래스를 포함하는 기내식 시트 TV (기내 엔터테인먼트) 담요와 베개는 별도로 요금이 부과했다. 단 국제 이코노미 클래스의 경우 1 번째 기내식은 주류는 요금에 포함되어 있지만 추가할 경우 신용 카드 결제로 구입해야 한다. 프리미엄 이코노미와 비즈니스 클래스 음료수는 요금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파나소닉의 eX2을 채용하고 있다.

국제 비즈니스 클래스[3]
좌석 배열은 2-2-2에서 시트 피치는 77인치 (195cm)의 완전 평면 좌석을 채용.
국제 프리미엄 이코노미 클래스[4]
좌석 배열은 2-4-2에서 시트 피치는 38인치 (95cm)
국제 일반석[5]
좌석 배열은 3-3-3에서 시트 피치는 32인치 (81cm)

같이 보기

각주

  1. “Virgin unveils transpacific airline - V Australia : thewest.com.au”.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7일에 확인함. 
  2. “V 오스트레일리아의 보유 기종”. 2014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3일에 확인함. 
  3. “보관된 사본”. 2011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6일에 확인함. 
  4. “보관된 사본”. 2011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3일에 확인함. 
  5. “보관된 사본”. 2011년 1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3일에 확인함. 

사진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V 오스트레일리아
  •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홈페이지
  • V 오스트레일리아 홈페이지
  • v
  • t
  • e
국책 항공사저가 항공사지역 항공사전세 항공사
  • 네트워크 에이비에이션
  • 로스 에어
  • 마로바 항공
  • 숄에어
  • 스카이 트랜스 항공
  • 씨에어 퍼시픽
  • 얼라이언스 항공
  • 에어 크루싱 오스트레일리아
  • 에어링크
  • 에어택스 항공
  • 인랜드 퍼시픽 항공
  • 팰 에이비에이션
  • 팰에어
화물 항공사헬리콥터 항공사
  • CHC 헬리콥터
  • NZ 헬리콥터
  • 스토 헬기
  • 오스트레일리아 헬리콥터
폐지된 항공사
  • 글로벌 에어
  • 노퍽 에어
  • 뉴사우스웨일스 항공
  • 리저널 퍼시픽 항공
  • 마크 에어
  • 맥로버트슨 밀러 항공
  • 뱅크 파커 익스프레스
  • 버틀러 항공
  • 빅스카이 익스프레스
  • 선샤인 익스프레스 항공
  • 스카이 에어 월드
  • 앤셋 오스트레일리아
  • 에뮤 항공
  • 에버리저널 에어 서비스
  • 에어 오스트레일리아
  • 에어 임펄스
  • 에어 퀸즐랜드
  • 에어로 트로픽 에어 서비스
  • 에코 항공
  • 에어로 팰리칸 에어 서비스
  • 영국 연방 퍼시픽 항공
  • 오스트레일리아 내셔널 항공
  •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
  •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 오즈 에어
  • 오코너 항공
  • 웨스트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 이스트 랜드 항공
  • 이스트 웨스트 항공
  • 캔델 항공
  • 컴패스 에어
  • 콘넬란 항공
  • 퀸즐랜드 리저널 항공
  • 퀸즐랜드 퍼시픽 항공
  • 태서 항공
  • 트랜스 에어
  • 트랜스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 플라이트 웨스트 항공
  • 헤이즐턴 항공
  • 호라이즌 에어
  • V 오스트레일리아
  • v
  • t
  • e
인물
라이프 스타일
  • 버진 액티브
  • 버진 열기구
  • 버진 책 (순결을 잃고)
  • 버진 드링크 (버진 콜라
  • 버진 보드카
  • 버진 와인)
  • 버진 익스팬스 데이
  • 버진 헬스 뱅크
  • 버진 바우처
여행
음악
미디어 & 모바일
  • 버진 미디어
  • 버진 미디어 영국
  • 버진 모바일 오스트레일리아 (버진 브로드밴드 오스트레일리아)
  • 버진 모바일 캐나다
  • 버진 모바일 프랑스
  • 버진 모바일 인도
  • 버진 모바일 남아프리카
  • 버진 모바일 USA
  • 버진 프로듀스
라디오
  • 버진 라디오 프랑스
  • 캐나다 (토론토
  • 벤쿠버
  • 몬트리올
  • 캘거타
  • 애든먼턴)
  • 버진 라디오 이탈리아
  • 버진 라디오 두바이
  • 버진 라디오 터키
  • 버진 라디오 요르단
과거 밴처 기업
  • 버진 코믹
  • 버진 헤븐
  • 버진 리무진
  • 오울 FM
  • 버진 레이싱
  • 라디오 (오타와)
  • 라디오 (UK) (앱솔루트 클레식 록
  • 버진 라디오 그루브
  • 앱솔루트 액스트리미엄)
  • 바이 아트 홈
없어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