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1030호선

경상남도 지방도
1030
지방도 제1030호선
완암 ~ 생곡선
지방도 제1030호선
총연장 17.7km
개통년 2012년 2월 29일
기점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완암동
주요
경유지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김해시
종점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동
주요
교차도로
국도 제25호선
지방도 제1020호선

지방도 제1030호선 (완암 ~ 생곡선)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완암동에서부터 김해시 장유동까지 잇는 경상남도지방도이다.

경상남도 창원시 ~ 부산광역시 강서구 고속화 도로를 민간 자본으로 건설하였다. 전 구간 4차선으로 사업비를 3,637억원을 투입하여 핵심구간인 불모산터널2012년 2월 29일에 임시 개통되었으며 2013년 11월 11일에 유료화가 되었다. 지방도 제1020호선 창원터널의 만성적인 정체와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교통 정체 해소와 진해구와 강서구에 위치한 남해 신항만의 배후 도로 역할을 하며 진해구국도 제2호선, 국도 제77호선을 대체 역할을 하고 있다.

연혁

  • 2007년 11월 1일 : 지방도 제1030호선 지정[1]
  • 2009년 10월 15일 : 경상남도 구간 지방도 노선 조정[2]
  • 2012년 1월 10일 :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 김해시 장유면 대청리 7.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
  • 2012년 2월 29일 :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성주사 나들목) ~ 김해시 장유면 대청리 구간 7.4km 개통[4]
  • 2013년 7월 30일 : 창원시 성산구 완암동 ~ 김해시 장유3동 9.6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
  • 2013년 10월 12일 : 창원시 성산구 완암동 ~ 안민동 구간 4.3km 와 김해시 장유2동 ~ 장유3동 구간 5.75km 개통[6]
  • 2013년 11월 11일 : 창원 ~ 부산간 도로(창원시 성산구 완암동 ~ 김해시 장유동 율하IC) 구간 통행료 징수 개시[7]
  • 2015년 5월 1일 : 창원 ~ 부산간 도로(창원시 성산구 완암동 ~ 김해시 장유동 율하IC) 구간 통행료 인상[8]
  • 2015년 9월 23일 :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3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 미음 교차로 3.78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9]
  • 2015년 10월 15일 : 창원 ~ 부산간 도로 개설에 따라 전 구간을 남해안대로로 지정[10]
  • 2015년 12월 5일 : 창원 ~ 부산간 도로(경상남도 김해시 장유3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5.48km 구간 개통[11][12]
  • 2015년 12월 12일 : 창원 ~ 부산간 도로(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동 율하IC ~ 부산시 강서구 생곡동) 구간 통행료 징수 개시[13]
  • 2018년 4월 1일 : 창원 ~ 부산간 도로 통행료 인하[14]

주요 경유지

노선

이름[15]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남해안대로와 직결
완암 나들목 연덕로 창원시 성산구 시점
상복1교
상복 교차로 공단로474번길
상복2교
남지 교차로 안민로
안민1교
안민천교
성주사 교차로 국도 제25호선
(해원로)
천선1교
안민2교
천선2교
천선터널 상행 연장 334m
하행 연장 302m
불모산 교차로 불모산로62번길
창원 요금소 본선 요금소
불모산터널 상행 연장 2,174m
하행 연장 2,146m
김해시 장유동
서장유교
상점 교차로 지방도 제1020호선
(금관대로)
대청터널 상행 연장 512m
하행 연장 478m
신안1교
신안2교
율하터널 상행 연장 824m
하행 연장 772m
율하 교차로 율하로
율하4로
녹산터널 상행 연장 888m
하행 연장 877m
부산광역시도 제12호선과 직결

통행료

완암 나들목부터 생곡 교차로까지 구간은 민자도로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유료도로로 운영한다.

2018년 4월 1일 기준이다.[14]

구분 창원요금소 녹산요금소
경차 500 500
소형차 1,000 1,000
중형차 1,500 1,500
대형차 1,900 1,900

통행료는 도로 운영기관인 경남하이웨이에서 2015년 12월 12일부터 2045년 12월 10일까지 30년간 징수한다.

불모산터널

핵심 구간인 불모산터널2012년 2월 29일에 임시 개통되었으며 2013년 11월 10일까지 무료로 개통되었다.[16] 2013년 11월 11일부터 유료로 전환되어 통행료로 소형 900원, 중형 1300원, 대형 1800원을 징수하고 있다.[17]

같이 보기

각주

  1. 경상남도공고 제2007-671호, 2007년 11월 1일.
  2. 경상남도공고 제2009-756호, 2009년 10월 15일.
  3. 경상남도공고 제2012-29호, 2012년 1월 10일.
  4. 경상남도공고 제2012-121호, 창원시 공고 제2012-450호, 2012년 2월 23일.
  5. 경상남도공고 제2013-478호, 2013년 7월 30일.
  6. 경상남도 공고 제2013-652호, 2013년 10월 12일.
  7. 경상남도공고 제2013-734호, 2013년 11월 6일.
  8. 경상남도공고 제2015-488호, 2015년 4월 16일.
  9. 부산광역시공고 제2015-1744호, 2015년 9월 23일.
  10. 행정자치부고시 제2015-36호, 2015년 10월 15일.
  11. 경상남도공고 제2015-1388호, 2015년 12월 1일.
  12. 부산광역시공고 제2015-2081호, 2015년 12월 2일.
  13. 경상남도공고 제2015-1423호, 2015년 12월 10일.
  14. 경상남도공고 제2018-503호, 2018년 3월 29일.
  15.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16. 불모산터널 임시 개통..창원터널 교통정체 사라져, 연합뉴스, 2012년 2월 29일 작성.
  17. 불모산터널 통행료 900원 확정, 경남신문, 2013년 11월 6일 작성.

외부 링크

  • 경남하이웨이
  • v
  • t
  • e
국가지원지방도
자세한 내용은 틀: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 참조.
경기도(300)강원특별자치도(400)충청북도(500)충청남도(600)전북특별자치도(700)전라남도(800)경상북도(900)경상남도(1000)제주특별자치도(1100)

2020년 국토교통부 저 《도로현황조서》 기준.

  • v
  • t
  • e
고속도로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참조
일반 국도
남북
동서
지방도
국지도
지방도
국지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시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전남
경북
경남
 표시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가 해제된 구간을 나타낸다.
  • v
  • t
  • e
창원시의 교통
철도
노선
고속도로
노선
나들목·분기점
일반도로
국도
국지도
지방도
주요 간선도로
도시고속
간선도로
교량
  • 남문대교
  • 마창대교
  • 안골대교
  • 웅천대교
  • 동진교
  • 봉암교
  • 불모산교
  • 성주고가교
  • 토월천교
  • 토월천5교
  • 토월천복개교
  • 통일교
터널
버스
시내
고속·시외
기타
공영자전거
항공
시내
  1.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 v
  • t
  • e
김해시의 교통
철도
노선
고속도로
노선
나들목·분기점
일반도로
국도
국지도
지방도
주요 간선도로
간선도로
교량
터널
버스
시내
고속·시외
기타
시내
  • v
  • t
  • e
부산광역시의 교통
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
철도
노선
도시·광역철도
도로
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
시내간선도로
국도·국지도
광역시도
고가도로[2]
  • 가야
  • 대연
  • 동서
  • 동명
  • 동천
  • 모라
  • 반여
  • 부암
  • 여락
  • 영도
  • 영주
  • 월평
  • 좌천
  • 진남
  • 충장
  • 화명
교량
터널
지하차도[2]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
환승센터
기타
항공·항만
교통카드
  1.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2.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편〕
  3.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4.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5.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부칙 제2조(법 시행을 위한 준비행위) 국토교통부장관은 이 법 시행 전에 권역별 공항개발 방향이 가덕도신공항의 위계 및 기능과 중복되는 내용이 없도록 추진 중인 공항개발사업 계획을 대체하여 「공항시설법」 제3조에 따라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6. 「공항시설법」제2조 제3호,「특별법」제2조 제1호
  1. 창원시 명예도로 주소정보누리집(도로명주소안내시스템) 창원시 도로노선의(지정) 고시 (2017년 6월 20일 지정) 관련도로 - 연덕로
  2. 이, 상봉; 이, 정용 (2023년 3월 26일).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코리아문화스포츠저널》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년 9월 29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터널 및 교량 중, 통과에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유료 도로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북특별자치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