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1116호선

한창로는 이 곳으로 연결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지방도
1116
지방도 제1116호선
한창로
(창천 ~ 한림선)
지방도 제1116호선
총연장 14.3km
기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주요
경유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종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주요
교차도로
지방도 제1115호선
지방도 제1120호선
지방도 제1132호선
지방도 제1135호선
지방도 제1136호선

지방도 제1116호선(한창로)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삼거리와 제주시 한림읍 한림리 한림종합운동장 앞을 잇는 제주특별자치도지방도이다. 한림읍과 안덕면 창천리를 잇는다고 하여 각 지명의 앞글자를 따 한창로라는 도로명이 붙여졌다. 또는 목장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라고 해서 "서부축산도로"라고도 한다.

역사

1971년박정희 대통령이 한림읍 금악리에 조성된 이시돌목장을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이 목장을 방문 후 돌아가던 길에 차가 도랑에 빠지는 일이 발생했다. 이에 박정희 대통령이 도로 확·포장을 지시해 이 도로를 개설하게 되었다고 한다.

처음 이 도로를 건설할 당시 금악리 지역 주민들이 무상으로 도로 용지 및 건설 인력을 제공하였다. 이후 이 도로는 두번에 걸쳐 추가로 확·포장 공사가 있었는데, 이 때도 이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하여 1973년 한림읍에서 이시돌목장 간 10km 구간이 포장 완료되었으며 1979년 4월 29일에 지방도로 지정되었다. 이후 추가적인 공사를 통해 1989년에 이시돌목장에서 안덕면 창천리까지 구간이 포장 완료되었다. 그리고 2001년에는 한림우회도로와 중산간도로 사이 구간 1.7km가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다.[1]

주요 경유지

  • 서귀포시
    • 안덕면 창천삼거리 - 상창리 - 상창 교차로 - 테디벨리GC - 동광 나들목 - 동광육거리 - 동광리

중복 구간

도로명

각주

  1. 한창로 Archived 2014년 9월 14일 - 웨이백 머신, 디지털제주문화대전
  2. 제주도공고 제1123호, 1979년 4월 26일.
  3. 제주도공고 제2350호. 1990년 8월 22일. 제주도보 제445호 (1990년 9월)
  4. 제주도공고 제95-139호, 제95-140호, 1995년 10월 5일.
  5. 제주도공고 제2003-127호, 2003년 4월 7일
  • v
  • t
  • e
국가지원지방도
자세한 내용은 틀: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 참조.
경기도(300)강원특별자치도(400)충청북도(500)충청남도(600)전북특별자치도(700)전라남도(800)경상북도(900)경상남도(1000)제주특별자치도(1100)

2020년 국토교통부 저 《도로현황조서》 기준.

  • v
  • t
  • e
제주특별자치도의 도로
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9호선
지방도 제1112호선
지방도 제1114호선
지방도 제1115호선
지방도 제1116호선
지방도 제1117호선
지방도 제1119호선
지방도 제1120호선
지방도 제1121호선
  • 제안로
  • 덕수서로
  • 서광남로
  • 금악로
  • 광상로
지방도 제1122호선
지방도 제1131호선
지방도 제1132호선
지방도 제1132-1호선
지방도 제1135호선
지방도 제1136호선
지방도 제1139호선
기타 도로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북특별자치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